“인스타 DM으로 협찬 제안 받았는데, 이거 혹시 사기인가요?”
처음엔 그저 단순한 광고 협업 제안인 줄 알았어요. 인스타그램 DM으로 “고객님의 피드가 너무 예뻐서, 우리 브랜드 모델로 제안드리고 싶어요”라는 메시지가 왔을 땐 솔직히 좀 설렜어요. 근데 지금 돌이켜보면, 그때가 제 사기 피해의 시작이었습니다. 정말 누가 봐도 자연스럽고 정중한 접근이었어요. 그러니까 의심조차 안 했죠. 이 글은 제가 실제로 겪은 인스타그램 DM 사기의 전 과정과, 이후 대처한 방법을 담은 기록입니다.
1. 처음엔 협찬 제안으로 시작됐어요 – 너무 자연스러워서 의심 안 했던 그 말투
저에게 온 메시지는 영어였고, 계정도 팔로워 수 1만이 넘는 꽤 있어 보이는 해외 브랜드 계정이었어요. “제품 하나 보내드릴 테니, 인스타그램에 착용 사진만 올려주세요. 배송비만 부담해 주세요.”라고 했죠. 제가 했던 건 배송비 6.99달러를 결제하는 것뿐이었어요.
결제는 전용 링크로 이뤄졌고, 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순간부터 뭔가 이상했어요. 결제 창이 너무 허접했고, 결제 완료 후 아무 메일도 오지 않았습니다. 3일 후 카드사 문자로 해외에서 알 수 없는 결제가 3건 연속으로 이뤄졌다는 걸 알게 됐어요.
그때서야 ‘이거, 진짜 당했구나…’ 실감이 났습니다.
2. 피해 이후 내가 가장 먼저 했던 3가지 조치
제가 가장 먼저 한 건 카드사에 전화해 결제 중지 요청을 넣는 거였어요. 그리고 가까운 지점에 방문해서 카드 재발급을 요청했고, 동시에 피해 신고도 했습니다.
그 다음엔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정식으로 신고했고요. 캡처해둔 DM 메시지와 결제 링크, 카드 결제 내역 등을 모두 제출했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7달러라는 금액 자체는 크지 않았지만 문제는 그게 아니라 ‘심리적 충격’이었어요. 내가 이렇게 쉽게 속았다는 자책감이 너무 크더라고요. 그리고 저처럼 당한 사람들 후기를 찾아보니 생각보다 많았어요.
3. 이렇게까지 똑같다니… 다른 피해자들과의 공통점
이후 검색을 통해 피해 사례를 모아보니, 패턴이 놀라울 만큼 비슷했어요. 아래 표로 정리해봤습니다.
항목 공통 피해 사례 내용
접근 방식 | 인스타그램 DM으로 협찬 제안 |
결제 유도 방식 | 배송비만 부담하라는 명목의 링크 발송 |
결제 창 특징 | 영문 기반, 정식 쇼핑몰처럼 보이지만 허술함 |
피해 내용 | 카드 무단 결제, 계정 탈취 시도 |
대처 방법 | 카드 정지, 재발급, 사이버수사대 신고 |
4. 이런 메시지 받으면 무조건 의심하세요
사기범들이 쓰는 말투는 아주 유사합니다. “당신의 피드가 아름다워서 우리 브랜드의 앰버서더가 되어주셨으면 합니다.” 또는 “배송비만 부담해주시면 선물 드릴게요”는 거의 공식입니다.
정상 브랜드는 절대 DM으로 카드 결제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결제를 받거나, 제품을 아예 무상으로 보내고 연락을 하죠.
또한, 브랜드 계정처럼 보이는 곳도 실제로는 가짜입니다. 팔로워 수가 많아도, 프로필에서 웹사이트 링크를 클릭해 보면 엉뚱한 곳으로 연결되기도 해요.
Q&A
Q1. 인스타 DM으로 온 협찬 제안, 무조건 거절해야 하나요?
→ 대부분 사기이므로 공식 홈페이지나 메일 외의 제안은 피하는 게 안전합니다.
Q2. 이미 결제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카드사에 즉시 연락해 결제 정지와 재발급 요청을 하세요. 이후 사이버수사대 신고도 필수입니다.
Q3. 피해 보상은 가능한가요?
→ 카드사에서 이상 거래로 인식되면 환불 처리가 되는 경우도 있으나, 카드사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